fbpx
Home사회학벌사회

학벌사회 [ 무너진다 vs 무너지겠냐 ]

대한민국의 학벌사회 현상은 사회 구성원들에게 익숙한 개념이다. 하지만 국내에서의 학벌주의는 다양한 측면에서 점차 변화하고 있다는 지표도 나타나고 있다.

출처: 지식한입 유튜브 채널

먼저, 대한민국은 지식 기반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학력과 취업 기회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고학력자가 더 많은 자원을 차지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명문대 출신의 엘리트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명 스타트업 창업자 중에도 고학력자가 대부분이며, 투자자들 역시 학력을 중요한 지표로 여기고 있다.

명문대 출신이라는 것은 인적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창업 활동에서도 큰 이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IT 기업들은 주로 명문대 출신 동기들끼리 창업한 사례가 많다.

출처: 지식한입 유튜브 채널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졸자들 중에서는 취업 시장에서 점점 취약해지는 지표도 나타나고 있다. 대졸자 수가 증가하면서 실업률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학벌에 따른 상향 진학이 어려워지면서 하향 취업이 늘어나고 있으며, 한번 하향 취업을 하게 되면 위로 올라오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대입 경쟁률이 낮아진 최근 상황에서는 상위권 대학이 아닌 지방대학은 학생이 줄어들고 있으며, 학력 인구의 감소와 수도권 집중화로 인해 정원 미달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외국인 유학생을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출처: 지식한입 유튜브 채널

이러한 현상은 우리 경제의 성장과 효율, 체질 변화와 연결되어 있다. 비정규직이 늘고 실제 임금이 정체되면서 기업은 고용에 대한 책임을 덜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이직률이 높아지고 신입 공채는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대한민국의 학벌사회는 여전히 단단한 면모를 보이고 있으나, 새로운 변화의 조짐과 함께 이로 인한 새로운 문제점들이 도출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변화는 대학 진학과 취업 시장, 그리고 사회 전반의 가치관과 연결되어 더욱 복잡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대응이 요구된다.

최신 뉴스

인기뉴스

무작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