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 지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도 불구하고, 실제로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매우 한정적이다. 중국에서는 이 한정적인 자원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 이로 인해 중국은 자국내 400개의 대도시 중 대부분이 심각한 물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은 현재까지 역사상 가장 거대한 물 확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중국의 물은 정치와 외교의 중심에
티베트 자치구는 중국 정부와의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정치적 긴장감은 물 부족 문제와도 묶여 있다. 중국의 두 대강인 양쯔강과 황하의 발원지가 바로 티베트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은 티베트에서의 물 자원 확보를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있다.
남수북조 사업과 그 영향
중국의 남수북조 사업은 특히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물이 풍부한 남쪽에서 북쪽으로 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선과 중선은 이미 개통되었고, 이를 통해 베이징의 전체 물 소요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완료되지 않은 서선 프로젝트는 티베트를 포함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물 자원을 확보해야 하므로 복잡한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티베트의 물, 중국만의 자원이 아니다
티베트는 단순히 중국만의 물 공급원이 아니다. 이 지역의 물은 러시아, 인도 등 여러 주변 국가로 흐르고 있어 중국의 물 확보 프로젝트가 이들 국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큰 관심사이다.
외교적 갈등과 미래 전망
중국의 대규모 물 확보 프로젝트는 주변 국가들과의 외교적 갈등을 촉발하고 있다. 중국이 이러한 프로젝트를 계속 추진한다면, 주변 국가들의 물 공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결론
중국의 물 부족 문제는 단순한 환경 문제를 넘어 정치와 외교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 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들에게도 심각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으며, 국제적인 협력이 불가피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