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들의 다채로운 음식 취향이 고증 자료와 사료를 통해 빛을 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선의 여러 왕들, 특히 태조 이성계, 세종, 태종 이방원, 연산군, 광해군, 그리고 숙종의 음식 취향과 선호하는 메뉴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태조 이성계: 청포도와 고기 사이
태조 이성계는 용장한 군사 출신으로, 고기를 아주 좋아했다. 그러나 왕자의 암살과 조사 이후로는 고기에 대한 거부감이 생겨 고기를 자제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이성계는 청포도를 아주 좋아했으며, 병에 걸린 상태에서도 청포도를 먹고 싶다고 하여, 가까운 왕자들에게 청포도를 구해오도록 지시했다.
세종: 닭백숙의 애호가
세종은 고기 음식을 선호했고, 특히 닭백숙을 매우 좋아했다. 그의 아버지 태종 이방원은 고기 없이는 밥을 먹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세종 역시 유교의 법상 고기를 먹으면 안 되는 기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항상 고기를 선호했다.
태종 이방원: 유교 법상을 따르는 고기 애호
태종 이방원은 세종과 같이 고기를 아주 좋아했으며, 신하들은 그가 고기 없이는 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유교의 법상에 따라 고기를 먹으면 안 되는 기간에는 고기를 피하고 채소로만 식사를 해왔다.
퍄퍄킴 역사
유튜브 바로가기
연산군: 보양식과 귀한 음식을 찾아
연산군은 평생 보양식을 선호했고, 특히 말고기와 양기를 보충한다며 흰 말을 잡아오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을 통해 수입되는 각종 고급 과일과 음식도 선호했다. 사슴 꼬리와 같은 특이한 보양식에도 집착을 보였다.
광해군: 잡채의 마스터
광해군은 다른 음식보다 잡채를 아주 좋아했다. 그 당시 잡채는 당면이 들어가지 않고, 야채와 찹쌀로 만들어졌다. 광해군이 좋아한 잡채 덕분에 당시 충이라고 불리는 인물이 높은 지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