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의학적 연구는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변해 왔습니다. 그러나 과거에는 ‘엄마의 부족한 사랑이 원인’이라는 착각에 빠져, 아이를 안락사에 이르게 하는 등의 충격적인 일들이 벌어졌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잘못된 사회적 인식, 그리고 현재까지의 의학적 연구와 이해에 대해 다룰 것입니다.
자폐증의 초기 인식과 의학적 연구
자폐증이라는 진단은 과거에는 이해도가 낮았고, 무엇보다 사회적인 편견에 시달렸습니다. 사례로 미국 미시시피 주에서 태어난 DONALD이라는 아이가 있습니다. DONALD은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 있었고, 사회적인 교류가 전혀 없었습니다. 당시에는 우월한 인종을 창출하려는 유전학의 한 분야인 우생학이 유행하고 있어, DONALD은 부모에 의해 수용소에 보내졌습니다.
우생학과 자폐증
당시 사회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생학의 역사를 무시할 수 없습니다. 우생학은 ‘우월한’ 인간을 창출하려는 목적으로, 비정상적이라고 판단되는 사람들은 격리되거나 안락사를 당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자폐증을 가진 아이들은 단순히 다르다는 이유로 격리되거나, 심지어는 안락사를 당하기도 했습니다.
엄마의 부족한 사랑이 원인?
닥터프렌즈
유튜브 바로가기
의학과 사회의 재인식
시간이 지나면서 자폐증에 대한 의학적 연구가 발전하고, 사회도 이를 더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1970년대에는 유전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엄마의 부족한 사랑’이라는 잘못된 인식은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현재와 미래: 꾸준한 발전과 인식 개선
현재 자폐증은 정신의학, 유전학, 신경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회적인 인식 또한 점점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도 편견과 오해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