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50,” 이전에는 선착장으로 활용되었던 이 곳은 이제 강변 공원으로 변모하였다. 이곳에 정박한 1800년대 중반의 무역 선박들은 방문객들에게 뉴욕의 해양 과거를 체험하게 해준다.

출처: 조승연의 탐구생활 유튜브

도시들이 세계적인 영향력을 얻는 데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농업적 우월성을 통해 인구 증가, 정치적 권력을 얻어 국가적 지위를 확보하는 방법과, 지리적인 이점, 강력한 재산권, 또는 무역에 유리한 독특한 법제도 등 다양한 이유로 교역 중심지가 되는 방법이 있다. 홍콩, 싱가포르, 베네치아, 런던, 뉴욕 같은 도시들은 후자에 속한다.

뉴욕이 세계적인 중심지로 떠오르게 된 계기는 캐나다와 미국 사이의 핵심 무역 지점이 되었을 때부터이다. 허드슨 강과 대호수를 연결하는 550km의 인공 운하를 통해 내륙의 방대한 자연 자원과 산업 생산이 맨해튼으로, 그리고 그 후 런던으로 흐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뉴욕은 국제적인 융합지로 전환되었고, 경쟁 항구였던 보스턴을 뒤로 한 채 앞서나가게 되었다.

출처: 조승연의 탐구생활 유튜브

미국 금융의 중심지인 월스트리트는 바다와 금융 사이의 연결고리를 상징한다. 월스트리트를 따라 나란히 놓여 있는 상인 길드 빌딩, 뉴욕 은행 빌딩, 뉴욕 주식 거래소 등이 그 예시이다.

출처: 조승연의 탐구생활 유튜브

베네치아와 뉴욕 모두에서, 상인들은 선박 난파나 거래 파트너의 채무 불이행 같은 상품 운송의 위험을 보험과 증권 같은 금융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완화하였다. 이런 안전망이 없었다면 뉴욕이 주요 허브 도시로 자리 잡을 수 없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의 “베네치아의 상인”에서, 부유한 상인인 안토니오는 ‘한 파운드의 살’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돈줄러인 쉴록에게 돈을 빌린다. 이런 극적인 사건들은 상인 거래에 내재된 위험과 금융 기관과 도구의 가치를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