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Home사회능력 위주 사회의 함정: 빈부 격차의 근본 원인 분석

능력 위주 사회의 함정: 빈부 격차의 근본 원인 분석

예일 대학교 로스쿨 교수 대니 R. 마크는 능력 위주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책을 저술하였다.

능력주의 사회는 세습 기반의 신분 사회에 비해 더 민주적이라고 여겨지지만, 이는 온전한 진실이 아니다.

능력주의 사회의 탄생과 변화

1980-90년대부터 미국의 대학들은 입학 기준을 변화시켜 학업 성적을 중시하게 되었다.

이 변화로 인해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극도로 몰두하고 열심히 공부하는 인재로 구성되기 시작했다.

출처: 조승연의 탐구생활 유튜브 채널

새로운 엘리트의 탄생과 문제점

이러한 열심히 공부하는 인재들이 기업에 입사하면서 상위 경영진의 구성이 변화하였다.

이들은 뛰어난 능력을 활용하여 한 사람이 이전보다 더 많은 업무를 처리하게 되었다.

중산층의 축소와 빈부 격차 확대

출처: 조승연의 탐구생활 유튜브 채널

능력있는 이들이 업무를 점점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게 되면서 중산층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빈부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중산층이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출처: 조승연의 탐구생활 유튜브 채널

능력 위주 사회의 미묘한 함정

능력 위주의 사회는 과거의 세습적 요소를 줄이고 공정한 경쟁을 도입하였으나, 이로 인해 빈부 격차는 더욱 확대되었다.

책에서는 이런 현상을 ‘능력 위주 사회의 함정’이라고 명명하며, 현대 사회의 빈부 격차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였다.

최신 뉴스

인기뉴스

무작위 뉴스